본문 바로가기
콤부차

콤부차(kombucha) 만드는 방법 알려드려요.

by 원이111 2020. 5. 11.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난초입니다. 날씨가 많이 더워지고 있어서 콤부차 배양하기에 딱 좋은 계절인것 같네요.

전 콤부차를 처음 알게 된 게 2년전인데요. 그때만 해도 콤부차의 차가 tea와 같은 뜻인줄 알았어요. 홍차 녹차 보이차 처럼요.  그런데 그냥 음료 자체의 이름이 콤부차 또는 곰부차 영어로 kombucha라고 하네요.

오늘은 홍차버섯 (스코비)를 가지고 콤부차를 만드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 찻물 1L 기준이구요. 처음 하시는 분들은 그대로 따라하시면 대부분 성공하실수 있을 거에요. 저도 이대로 해서 한번에 성공했으니깐요.

준비물

*열탕소독 또는 베이킹소다로 소독한 유리병- 찻물만 1L이니깐 용기는 1L 보다 조금 커야해요. 1.3L이상정도.

*설탕 1L 기준 100g 정도- 찻물의 10%정도로 맞추세요. 유기설탕, 비정제설탕, 사탕수수당 쓰시면 몸에 좋아요. 일반 설탕으로도 해봤는데 발효되는 데에는 아무 문제 없습니다. 일반 설탕 쓰셔도 괜찮아요.

*홍차,녹차 등 4g 정도-잎차 티백 상관 없어요. 전 티백이 집에 많아 티백을 쓰는데 한개 2g 정도라 2개 사용합니다.

*홍차버섯(스코비), 콤부차배양액 100ml 정도- 둘다 있으면 제일 발효가 잘 되어요. 하지만 둘중 하나만 있어도 시간이 좀 걸릴 뿐 발효가 되긴 합니다. 저도 처음엔 스코비만 넣고 발효 성공했어요.

*병 입구를 묶어줄 고무줄, 공기가 통하는 천 또는 키친타올

만들기

1. 정수된 물이나 생수를 1L 끓입니다. 끓인 물에 차를 넣고 20분 정도 우려 냅니다. 물을 끓일 때 차를 같이 넣고 팔팔 끓이면 우리는 시간이 좀 더 단축됩니다.

2. 찻잎이나 티백을 건져 낸 후 설탕을 넣고 잘 녹입니다. (밥숟가락으로 5~6큰술 정도 넣으면 됩니다.) 설탕이 조금 더 들어간다 해도 발효되면서 효모균과 미생물들의 먹이로 쓰이므로 단맛이 너무 강해질까 걱정은 안하셔도 됩니다.

3. 찻물을 꼭 식혀야 합니다. 콤부차 배양액과 스코비는 뜨거운 온도에서 죽습니다. 손으로 찻물이 든 유리병을 만졌을때 온기가 안느껴질 정도로 식히시면 됩니다.

4. 식힌 찻물에 스코비를 넣고, 콤부차 배양액 100ml정도를 넣습니다.

5. 병 윗부분은 공기가 통해야 하므로 천이나 거즈 키친타올 등으로 덮고 고무줄로 매어 줍니다. 공기는 통하되 입구에 틈이 있으면 안됩니다. 작은 초파리 같은 것이 혹시 들어가면 배양이 안되기 때문입니다.

키친타올을 두장 겹쳐 콤부차 병 입구를 묶어 배양 시작

6. 이제 이 병은 직사광선이 없는 통풍이 되는 곳에 잘 둡니다. 적정 실내온도는 20도~30도 정도 입니다. (요즘은 여름에는 냉방을 하고, 겨울에는 난방을 하므로 실내에 두면 배양 하는 온도는 크게 신경 안쓰셔도 될것 같습니다.) 그리고 배양이 될때까지 되도록 병을 옮기거나 만지지 않아야 합니다. 많이 흔들리면 아기 스코비가 만들어지다가 안될 수도 있어요.

7. 빠르면 2일 늦어도 3~4일이면 액체 표면에 얇은 막이 생기기 시작하는데 그것이 아기홍차버섯, 베이비스코비 입니다.  이게 두꺼워지면서 스코비가 하나 더 생기는 것이지요.

콤부차 배양후 5일째 아기 스코비 탄생

8. 5일~10일 정도 배양후 콤부차에서 적당한 신맛이 나면  스코비는 건져내고 (이때는 2개의 스코비가 안에 들어있겠지요^^) 액은 체에 걸러 따라 냉장고에 보관하면서 바로 드셔도 되고, 2차 배양 후 드셔도 됩니다.

왼쪽: 엄마스코비 오른쪽: 아기스코비

* 위의 과정을 계속 반복하면서 음료로 만들어 드시면 됩니다. 저는 얼음을 넣어 바로 마시는데, 혹시 처음이라 맛이 거부감이 들거나 위장이 약하시면 물에 희석해서 드셔도 됩니다. 주스에 타서 드셔도 되구요.

* 아기 스코비가 적당히 두꺼워 지면 배양이 다 되었다고 보시면 되구요. 맛을 살짝 보셨을때 적당히 새콤한 맛이 나면 배양이 다 된것이에요. 배양이 덜 되면 단맛이 많이 나구요. 배양이 너무 많이 되면 식초처럼 신맛이 강해져서 음료로 먹기 힘들어져요.

만들어 보시다가 궁금한 점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 주세요. 외국 사이트, 국내 블로그, 유튜브 동영상 등 제가 공부한 내용에서 아는 한 답변 해 드리겠습니다.

 

 

 

 

 

 

 

반응형